정리해봐요/White label 자동화 여정 3

해외 진출 딜레마를 CloudFront로 해결하기

문제의 시작: 글로벌 확장의 현실우리 서비스가 해외로 확장되면서 예상치 못한 문제들에 직면했다. 기존에는 국내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했는데, 해외 고객들의 요청이 늘어나면서 글로벌 서비스를 고려하게 되었다.처음에는 단순하게 생각했다. "해외 리전에 똑같은 인프라를 구축하면 되겠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마주한 문제들해외 리전 인프라 구축 비용이 예상보다 2배 이상 증가국내에서 해외 인프라를 관리하려니 네트워크 지연으로 운영이 어려움화이트라벨 고객마다 개별 도메인 설정 요청이 쏟아짐서비스 담당자와 개발자가 매번 수동으로 설정해주는 커뮤니케이션 비용 급증특히 화이트라벨 서비스 특성상 고객들이 자체 도메인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어했는데, 매번 개발팀에 요청해서 수동으로 설정하는 과정이 비효율적이었다.해결책: ..

02. Route 53, 고객님의 도메인 관리는 우리가 알잘딱 하겠습니다.

경로 기반 라우팅과 서브도메인 관리: 문제와 해결 방안무슨 문제가 있길래?우리 서비스는 경로 기반 라우팅을 사용하고 있지만, 레거시 서비스가 여전히 운영 중이라 서브도메인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제공 중인 서비스는 총 5개, SSO, 어드민 페이지 2개, SSL 인증, SES 인증 레코드 4개(DKIM 등)를 포함하면 10개 이상이 되는데 W/L을 사용하려는 고객은 이 레코드들을 모두 등록해야 한다. DNS 이름값서비스appapp.service.com어드민adminadmin.service.comSSOssosso.service.com그 외...  이 많은 정보를 고객에게 요청하면, 항상 이런 질문이 나온다. 뭐가 이렇게 등록하는게 많아요? 아무리 구조를 설명해도 고객의 부정적인 반응을 피..

01. 지금 운영하는 White label의 구조는 어떠한가?

White label이란? White Label(이하 W/L)이란 타사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여 자사 브랜드로 리브랜딩해 판매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뜻한다. 이는 공급업체가 기술,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구매한 기업이 이를 자신의 브랜드로 최종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고객들은 SaaS 솔루션을 계약하고 사용하지만, Resell, MSP, 또는 사내 조직별 클라우드 관리를 위해 W/L 계약을 맺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Atlassian을 들 수 있다. Atlassian은 도메인을 등록하고 인증한 뒤, Jira, Confluence 등의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구성 페이지를 제공한다. 이 과정 이후 고객 도메인 기반으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